★ 식별자
1. 키워드(return), 숫자로 시작되거나(3content), 빈칸이 있거나(no value)는 식별자로 쓸 수 없다.2. 생성자 함수의 이름은 항상 대문자로 시작한다.
3. 변수와 인스턴스, 함수, 메서드의 이름은 항상 소문자로 시작한다.
4. 여러 단어로 이루어진 식별자는 각 단어의 첫 글자를 대문자로 한다.
★ 식별자의 종류
메서드 : 식별자 뒤에 괄호있음 | 어떤 대상이 가진 함수
속성 : 식별자 뒤에 괄호없음 | 어떤 대상이 가진 변수
alert(‘hello’) => 함수
Array.length => 속성
Math.abs(-273) => 메서드
★ 문자열안에 따옴표를 넣기
내부에 작은따옴표를 사용하고 싶다면 외부에 큰따옴표를 사용한다.
굳이 같은 것을 쓰고 싶다면 따옴표 앞에 이스케이프문자를 사용한다.
예) \”, \n(줄바꿈), \(역슬래쉬)
★ 연산자
%: 나머지 연산자. alert(10%7); => 3
★ 복합 대입 연산자
+= : 기존 변수값에 값을 더한다.
/= : 기존 변수의 값에 값을 나눈다.
var title = ‘hello’;
title += ‘ JavaScript!’;
document.body.innerHTML = title;
변수++ : 기존의 변수 값에 1을 더한다.(후위)
++변수 : 기존의 변수 값에 1을 더한다.(전위)
var sum = 10;
alert(sum++); => 10. 왜냐하면 출력을 먼저하고 나중에 더하기 때문.
★ 불 자료형
alert(52>138); => false
가방>하마 => false //국어사전 앞쪽에 있을수록 값이 작다.
alert(!true); => false
&&: 논리곱 연산자. 다 참이라야 참
||: 논리합 연산자. 여러 개 중 하나만이라도 참이면 참
alert(30>20 && 20>10); => alert(true && true); => alert(true);
★ 변수: 값을 저장할 때 사용하는 식별자
var pi = 3.14159265;
★ 자료형 검사
alert(typeof (‘String’)); => string
alert(typeof (255)); => number
★ 이항연산자와 단항연산자
이항연산자: 52 + 30처럼 항이 두개 연산자 하나.
단항연산자: -52, typeof 52처럼 항이 하나, 연산자 하나.
★ prompt() 함수
var val = prompt(‘question’,’answer’);
alert(val); 이 코드를 실행하면 사용자에게 입력을 요구하는 입력창이 뜬다.
입력한 값이 다시 출력된다.
★ confirm() 함수
var input = confirm(‘동의하십니까?’);
alert(input); 확인을 누르면 true를 리턴하고 취소를 누르면 false를 리턴
★ 숫자와 문자열 자료형 변환
alert(‘1+2’) => 1+2 문자열
alert(1+2) => 3 숫자
alert(‘1’+2) => 12 문자열
alert(‘12′) => 12 문자열
alert(12) => 2 숫자 alert(‘1’2) => 2 숫자!! 숫자가 우선된다.
★ Number(): 강제로 자료형을 변환한다.
var oldType = prompt(‘숫자를 입력하세요’,’숫자’);
alert(typeof(oldType)); => 문자열이라고 함.
var newType = Number(oldType);
alert(typeof(newType)); => 숫자라고 함.
만약 숫자가 아닌 값을 입력하면 NaN이라고 나옵니다. not a number
★ 불 자료형 변환
alert(Boolean(‘a’)); => true
alert(Boolean(0)); => false
alert(Boolean(”)); => false
alert(Boolean(undefined)); => false
alert(Boolean(NaN)); => false출력. 숫자형인데 숫자로 표현할 수 없다면 NaN.
숫자아닌 문자를 입력하면 작동안되는 프로그램에 쓰인다.
★ null과 undefined의 차이
개발자가 명시적으로 값이 비어있음을 나타내기 위해 null 타입 변수를 사용한다.
의도적인 타입.
★ 일치 연산자
alert(” == false); => 자동으로 자료형이 변환되어 true출력
alert(” === false); => false출력
alert(‘255’ == 255); => true
alert(‘255’ === 255); => false
일치연산자를 통해 타입을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