먼저 telnet으로 서버 접속
1. 홈 디렉토리 자료 압축
du -sh
먼저 현재 디렉토리 용량체크
www폴더 안에 데이터가 있다면 cd www해서 들어간 후,
tar -cpvf backup.tar ./
파일 권한을 그대로 유지한채 압축시켜줌
2. DB 백업
mysqldump -u 아이디 -p DB이름 > backup.sql
비번 입력
아이디와 비번은 mysql접속 아이디, 비번이고 DB이름은 백업하려는 데이터베이스
3. FTP접속후 백업한 backup.tar를 바이너리 모드로 받는다
4. FTP접속후 백업한 backup.sql을 아스키 모드로 받는다
5. 백업한 파일들은 서버상에서 용량을 차지하니 지운다.
rm -rf backup.tar
rm -rf backup.sql
다른 데이터는 이전이 완료되기 전까지 접속될 수 있으므로 24시간 뒤에 지운다.
6. 새 서버에서 FTP접속후 backup.tar을 바이너리 모드로 업로드한다.
7. 새 서버에서 FTP접속후 backup.sql을 아스키 모드로 업로드한다.
이 때, 용량이 되는지 먼저 확인
8. 데이터 폴더명이 다를 수 있다.
이전 호스팅에서 www안에 index.html이 있었는데 새로 바뀐 호스팅엔 html폴더에 있어야 한다면 해당 폴더에 들어가서 풀어주어야 한다.
cd html
tar -xpvf backup.tar
user명만 현재 로그인한 user명으로 생성되고 퍼미션은 유지된다.
9. DB 풀기.
mysql -u 아이디 -p DB이름 < backup.sql
방향이 반대이다.
10. httpd.conf 의 vhosts 세팅
홈페이지가 잘 뜨는지 확인한다.
게시판 같은 곳에 글을 올려본다.
11. 용량을 위해 올렸던 백업파일을 삭제한다.
rm -rf backup.tar
rm -rf backup.sql
12. 네임서버 관리페이지에서 a레코드 변경
이메일을 사용한다면 smtp설정도 확인한다.